서울시 전역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서비스가 리뉴얼 되었습니다. 주요 특징으로는 웹표준 방식이 적용된 점입니다.
카카오3D 팀이 분사되어 만든 에피폴라 업체에서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. (해당 업체 홈페이지는 일부 익스플로러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.)
http://3dgis.seoul.go.kr/ 에 방문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크롬 브라우저 추천)
서비스 속도나 퀄리티는 좋아 보입니다. 무엇보다 3차원 엔진에서 불편하게 느꼈던 WMS 중첩 부분이 깔끔하게 처리되는 점을 높게 평가하고 싶습니다.
서울시 전역 3D로 본다
서울시청 등 공공기관 159곳은 실내도 볼 수 있어
기사입력 2016.04.14 11:17
김민영 수습기자 mykim@asiae.co.kr
앞으로 컴퓨터에서 서울시내 골목과 건물을 3D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.
서울시가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를 시 전체로 확대하고 전국 최초로 웹표준 방식을 적용하는 작업을 완료해 15일부터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.
시는 2010년부터 종로구 등 6개 지역을 3D 형태로 구현해 지도 서비스를 실시해왔는데 이번에 25개 구로 확대하는 것이다.
이를 위해 시는 국토교통부의 3D 기본 데이터를 확보하고 여기에 시의 부동산 서비스, 테마관광 안내 등 서비스를 추가해 복합정보를 3D 공간상에 구현했다.
또 국제 웹표준인 웹문서 등 서비스를 위한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(HTML5)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 웹브라우저에서 3D 그래픽 구현이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(WebGL) 등 최신 웹기술을 적용했다. 그동안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액티브엑스(ActiveX)등의 프로그램을 반드시 설치해야 했다면 앞으로는 별도 설치 없이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.
이밖에도 지하철 역사, 시청사 등 공공시설 159곳의 3D 실내지도도 볼 수 있고, 3차원 공간정보 위에 교통 CCTV 영상, 서울시정 홍보영상 등 동적 콘텐츠를 구현하는 서비스도 시범운영한다. 남대문로, 경부고속도로 서초1교를 검색하면 그 지역의 실제 교통 CCTV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식이다. 또 서울 도서관 정문 위 현판 자리에서는 서울시정 홍보영상이 음향까지 재생된다.
아울러 시는 이용자가 3차원 공간정보를 단순히 확인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응용해 직접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개하는 ‘Open API’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.
포스팅 작성일 : 2016.04.15
출처 : http://view.asiae.co.kr/news/view.htm?idxno=2016041410462909940
'GIS > 1.GIS(지도) 관련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드론비행용 3D지도 구축…건물·가로수·안테나 높이까지 (0) | 2016.06.17 |
---|---|
3차원·고해상도 등 공간정보사업에 5년간 798억 투입 (0) | 2016.04.21 |
LX공사, 소상공인 신용정보와 공간정보 융합...신용지도 개발 (0) | 2016.03.31 |
국토부, 고정밀 공간정보로 '드론 길' 만든다 (0) | 2016.03.31 |
정부, 올해 3천247억원 규모 공간정보사업 추진 (0) | 2016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