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종특별자치시 에서 구축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에 관한 기사입니다.
구축한 3차원 공간정보를 브이월드나 카카오맵(모바일 에서만)을 통해 서비스 한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.
아래와 같이 두 서비스를 통해 확인해보니 카카오맵의 배경이미지 색감이 더 깔끔해 보이네요.
행복도시, 지상·지하시설물 3차원 공간정보 확대 구축사업 완료
등록 2018-03-04 13:32:14
【세종=뉴시스】노왕섭 기자
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(청장 이원재)과 한국토지주택공사(사장 박상우)는 '행복도시 지상·지하시설물 3차원 공간정보 확대 구축 2차 사업'을 완료하고 3월부터 개방한다고 4일 밝혔다.
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은 지상·지하시설물 및 지형 등의 공간정보를 3차원으로 구축하여 도시기반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, 도시의 시설물을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지상․지하를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, 건물 설계나 각종 공사에서 조망권 분석 등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행복청은 행복도시가 완성되는 2030년까지 도시 조성 단계에 맞춰 지상·지하시설물 공간정보를 단계적으로 구축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2015년부터 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.
1차 사업은(2015년7월~2016년10월) 1~2생활권을 중심으로 구축한 바 있으며, 2차 사업(2017년6월~2018년1월)은 1~4생활권을 대상으로 ▲지상·지하시설물 추가 구축(지상 5.6㎢, 지하 368㎞) ▲기 구축 지상시설물 현행화(10.42㎢) ▲항공사진 촬영(77㎢) 등을 추진하였다.
지금까지 추진해 온 '행복도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사업' 성과물은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인 브이월드와 민간포털(카카오맵)등을 통해 개방하고 있다.
이를 통해 국민들은 행복도시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브이월드 및 민간포털의 지도서비스를 통해 행복도시의 현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또한 도시 건설·관리 관련 기관은 자료 공유뿐만 아니라 도로 굴착 등 사업 추진 시 활용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전하게 추진할 수 있다.
행복청 김태복 기반시설국장은 "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3차원 공간정보를 단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행복도시 전역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릴 수 있게 됐다"면서 "앞으로도 3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도시건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행복도시가 미래 첨단 스마트 도시로 건설되도록 지속적으로 확대 구축해 나갈 계획"이라고 말했다.
포스팅 작성일 : 2018.03.09
출처 : http://www.newsis.com/view/?id=NISX20180304_0000241969&cID=10818&pID=10800
'GIS > 1.GIS(지도) 관련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지도의 영토 확장 (0) | 2018.04.18 |
---|---|
공간정보 전공·업무경력자, 공간정보기술자로 인정 (0) | 2018.03.23 |
측량기준점 국토정보플랫폼에서 확인하세요 (0) | 2018.01.06 |
오늘 준공된 건물, 내일이면 지도 앱으로 찾아갈 수 있다 (0) | 2018.01.06 |
"싸고 안전한 등록 임대주택 어디에?" 지도 서비스 나온다 (0) | 2018.01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