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입체주소를 도입하여 드론, 드로이드 등의 산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담은 기사입니다.
[요약]
- 주소 체계에 높이 개념을 도입해 주소를 입체적으로 확장
- 드론 등 기기가 푸드트럭 등 비고정 사물의 위치 식별도 가능할 수 있도록 시간을 고려한 '다차원 주소 체계' 기준도 마련
- 안전사고 대응을 위해 육교 승강기 등 다중이용시설물에 '도로명+기초번호'를 부여해 신속한 신고와 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
- 도로명주소 불편사항 개선 등
국내 주소체계가 4차 산업의 기틀이 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되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합니다.
드론배송·자율차 시대, 국내 주소체계 바꾼다…'입체주소' 도입
송고시간 | 2017/12/27 12:00
(서울=연합뉴스) 양정우 기자
드론·자율주행차 등 4차산업혁명 시대 맞춘 제3차 주소정책 2022년까지 추진
신속한 신고·출동 위해 시설물에 '도로명+기초번호' 부여
'4차 산업혁명' 시대에 급부상하는 드론이나 드로이드, 자율주행차 등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주소 체계가 고도화된다.
행정안전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'제3차 주소정책 추진 종합계획(2018∼2022년)'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.
행안부에 따르면 드론이나 드로이드 등은 정확한 주소를 바탕으로 택배 배달 임무 등을 수행하는 신산업 기기들이다. 택배를 배달하는 경로나 주소 정보가 정확할수록 기기의 임무수행률은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.
행안부는 현재 평면개념인 주소 체계에 높이 개념을 도입해 주소를 입체적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.
복합 건물의 층수, 호수까지 체계적인 주소로 등록해 4차 산업 서비스에 활용한다면 산업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행안부의 설명이다.
또, 드론 등 기기가 푸드트럭 등 비고정 사물의 위치 식별도 가능할 수 있도록 시간을 고려한 '다차원 주소 체계' 기준도 마련하기로 했다.
이를 위해 내년부터 주소 체계 고도화 작업에 본격 착수하고, 2019∼2020년에는 '주소활용지원센터'를 구축해 신산업 모델에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.
이와 함께 행안부는 국민 생활 안전을 위해 전 국토에 종합적인 주소 체계를 구현하기로 했다.
안전사고 대응을 위해 육교 승강기 등 다중이용시설물에 '도로명+기초번호'를 부여해 신속한 신고와 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.
기초번호는 전국 도로를 20m 간격으로 나눠 부여한 번호다. 번호는 도로를 따라 서→동, 남→북으로 이동하며 왼쪽은 홀수, 오른쪽은 짝수가 부여된다.
산악이나 해양을 10×10m 단위로 구획해 부여한 국가지점번호 알림판도 2022년까지 추가로 2만2천여개를 설치하기로 했다. 산에서 길을 잃어버려도 국가지점번호만 알면 소방당국 등에 쉽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.
또, 주민센터와 학군 등 각종 구역을 국가기초구역 기반으로 정비해 더 체계적인 정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.
국가기초구역은 전 국토를 지형지물과 인구, 건물분포 등을 고려해 구획한 것으로 5자리로 이뤄진다. 기존 행정동을 10개 구역으로 나눈 것으로 볼 수 있다.
아울러 행안부는 도로명주소 중 7자 이상의 긴 주소와 3자리 이상의 '부번' 등 국민 불편하게 느꼈던 애로사항도 개선할 계획이다.
중소 상공인이 업무공간으로 이용하는 건물 내 소규모 임차 공간에도 상세주소(동·층·호)를 부여해 우편이나 택배 수령이 용이하도록 할 방침이다.
포스팅 작성일 : 2018.01.06
출처 : http://news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16/12/07/2016120702736.html
'GIS > 1.GIS(지도) 관련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년 공간정보아카데미 교육일정 안내 (0) | 2018.01.06 |
---|---|
국토부, 'AI 탑재 로봇 시공' 건설자동화 기술 2025년까지 개발 (0) | 2018.01.06 |
지도를 지배하라…통신·IT 강자들 '맵 전쟁' (0) | 2016.12.07 |
생활 파고드는 IoT·공간정보 새 서비스 (0) | 2016.12.07 |
구글 지도 반출 불허, 공간정보 사업 안보ㆍ산업 병행 과제 남아 (0) | 2016.12.07 |